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갑상선 기능저하증 치료 약인 씬지로이드와 에우티록신(레보티록신)의 차이점! 나에게 맞는 갑상선 약은?

by 깜짱 2025. 5. 22.

갑상선-기능-저하증-치료약-비교-썸네일

 

그 흔한 감기 한 번 잘 걸리지 않아 건강 체질이라 믿고 살아온 제게 약 1년 전 건강검진에서 '갑상선 기능저하증'이라는 결과는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치료제인 '씬지로이드'를 처방받아 복용하던 중 '씬지로이드'말고 다른 치료제는 없나?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씬지로이드? 에우티록신? 레보티록신?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제로 쓰이는 씬지로이드와 에우티록신은 모두 '레보티록신'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는 약입니다. 그러니까 씬지로이드와 에우티록신은 '레보티록신'이라는 갑상선 호르몬을 대체해 주는 성분을 포함하는 약의 이름인 것이죠.

 

치료 효과는 동일하지만 각각의 약을 복용하는 사람의 체질에 따라 다르게 반응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아래에 두 약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간단하고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씬지로이드와 에우티록신의 공통점은?

'레보티록신(Levothyroxine Sodium)'은 T4 갑상선 호르몬을 대체해 주는 성분입니다.

구 분 공통점
주성분 레보티록신 (갑상선 호르몬 T4 대체제)
복용법 1일 1회, 아침 공복에 복용 (아침 식사 30분 전)
효과 대사 정상화, 피로 및 무기력 개선
사용 목적 갑상선 기능저하증 치료

대표적인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치료제인 씬지로이드와 에우티록신 모두 레보티록신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루 1회 아침 공복에 복용해야 하고, 일정한 주기와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씬지로이드와 에우티록신의 차이점은?

 

두 약 모두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치료하는데 대표적인 약입니다.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씬지로이드(Synthroid)의 특징

먼저 제가 복용하고 있는 씬지로이드는 미국에서 제조했고 FDA의 승인을 받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약입니다. 부작용이 적은 편이며 체내 흡수율이 안정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저의 경우 주기적으로 하는 혈액 검사 결과에 따라 복용량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처음 복용할 때는 0.05mg, 이후 치수가 안정화되면서는 0.03mg으로 낮췄다가 다시 0.05mg으로 늘렸고, 갑자기 수치가 높아진 요즘은 0.15mg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에우티록신(Euthyrox)의 특징

에우티록신의 제조사는 독일에 있고, 몇 년 전 제형이 변경되어 일부 복용하는 사람들의 불만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씬지로이드도 제법 저렴하지만, 에우티록신은 그보다 더 저렴하다고 합니다. 체내 흡수율이 씬지로이드보다 빠를 수 있고, 일부 사람들이 복용 후 위장의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하지만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났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두 대표 치료제를 간단히 표로 정리했습니다.

 

구 분 씬지로이드(Synthroid) 에우티록신(Euthyrox)
주성분 레보티록신 (갑상선 호르몬 T4 대체제)
제조사 AbbVie (미국) Merck (독일)
흡수율 안정적 체질에 따라 빠를 수 있음
제형 이슈 없음 2019년 제형 변경으로 일부 불만 호소
부작용 적음, 안정적 위장 불편함 사례
가격 둘 다 저렴한 편이지만 에우티록신이 씬지로이드보다 더 저렴하다고 알려져 있음
국내 유통 국내 병원 대부분에서 처방 일부 병원에서 처방

 

 

어떤 약이 더 좋을까?

두 약 모두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효과가 있는 레보티록신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체내 흡수 속도, 복용 후 반응, 제형 차이로 인해 체질에 따라 체감이 다를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병원에서 갑상선 기능저하증 진단을 받으면 의사가 처방해 주는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간혹 복용하고 있는 약이 몸에 맞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면 담당 의사에게 문의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약은 절대 본인의 판단으로 바꾸지 않는 게 좋습니다. 

 

나에게 잘 맞는 약이 "가장 좋은 약"입니다. 

 

반응형

댓글